추운 겨울을 지나 봄의 길목에 접어든 3월입니다. 그러나 꽁꽁 얼어붙은 기업 심리는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어 우리 경제의 봄은 요원하기만 한데요. 전경련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3월 전망치는 기준선 100에 못 미치는 92.1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과거에 비해 상승폭이 작고 10개월 연속 기준선을 하회한 수준인데요. 이러한 부정적인 기업 심리는 실적에도 반영되어 2월 실적치는 88.1을 기록하며 최근 12개월 내 최저치까지 떨어졌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내수와 수출이 부진하고 기업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와 고용 위축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좀 더 자세한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BSI(기업경기실사지수, Business Survey Index)란?
BSI는 기업이 체감하는 경기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수치가 100을 웃돌면 긍정적으로 경기를 전망한 기업이 부정적 전망을 한 기업 수보다 많다는 뜻이고, 기준선 100을 밑돌면 그 반대를 의미합니다.
수출환경 악화, 환율 하락세 등이 기업심리 하락 요인
기업들은 미국, 중국, 유럽 등에서 보호무역 압력이 커지면서 수출환경이 악화되고, 국내 해운업계가 구조조정을 거치며 운임이 상승한 점을 기업경기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이와 함께 하락세인 환율도 걸림돌이 되고 있는데요. 지난해 글로벌 경기침체 및 내수부진으로 수출과 수입이 모두 감소하는 '불황형 무역흑자'를 기록한 데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환율조작국 거론으로 원화가치가 상승한 것입니다. 특히, 지난 1월의 수출 증가는 기저효과와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의 편중 효과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등 13대 주력 품목을 기준으로 한 1월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12.8% 증가했으나, 지난해 1월 수출이 22.1% 급감한 것을 고려하면 회복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과거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개년 1월 평균 수출액과 비교해 봐도 올해 1월 수출액은 6.7% 감소한 수준인데요. 그마저도 반도체 수출 증가를 제외하면 14.5%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기업 심리는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과거 전망치를 보면, 2월보다 3월에 전망치가 크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이번 3월 전망치도 전달에 비해 상승은 했지만, 과거의 상승폭에 비해서는 적게 오른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2월 기업 실적치 역시 1월보다 더 떨어진 88.1을 기록하며 부정적인 기업 심리가 실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본 포스팅은 전경련 재정금융팀 추나현 연구원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됐습니다.
'경제스토리 > 자유광장은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4월 기업경기전망 소폭 상승(bsi) (0) | 2017.03.30 |
---|---|
사드로 얼어붙은 관광산업, 체질 개선이 우선이다! (0) | 2017.03.27 |
최악의 경제 한파! 12개월 내 최저치 기록한 2월 경기전망(BSI) (0) | 2017.01.26 |
설, 춘절 등 명절 특수에도 ‘2017년 경기전망’은 여전히 하락세!(1월 BSI) (0) | 2017.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