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셜스퀘어/요즘뜨는이야기

직장인은 어촌으로 이동 중. 귀어 가구란?

 

직장인은 어촌으로 이동 중. 귀어 가구란?


 

중장년층이 은퇴 후 노후를 농촌에서 보내기 위해 귀농한다는 사실은 많은 분이 이미 아실 텐데요. 지난해 10만 명의 귀농 가구가 생겨나는 등 최근까지도 귀농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매우 높습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에는 3~40대의 젊은 층이 농촌이 아닌 어촌으로 이주하는 귀어 현상이 급증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어촌, 귀어, 귀농, 어부, 양식, 젊은 층, 귀어현상, 귀어란?, 귀어가구(사진출처:이미지투데이)

 

그들은 어째서 어촌으로 가는 것일까요? 귀어 가구를 샅샅이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귀어 가구 : 도시에 살다가 삶의 터전을 어촌으로 옮기는 가구. 최근에는 3~40대의 젊은 층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귀어 가구가 가장 급격하게 늘고 있는 지역은 바로 전라남도입니다. 그래서 귀어 1번지라고도 불린다고 하는데요. 최근 3년 사이에 전라남도의 귀어 인구는 4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전라남도가 밝힌 바로는 지난해 전남 귀어 가구는 총 209가구 457명(가구당 2.2명)으로 이는 2009년 47가구, 129명보다 무려 4.5배 늘어난 규모라고 합니다. 이렇게 전남 귀어 가구는 2010년 87가구에서 2011년 177가구로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시군별로는 완도군에 80가구로 가장 많은 귀어 가구가 있으며 그 다음은 진도군, 해남군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완도군과 진도군에 70%의 귀어 가구가 정착한 것인데요. 그 이유는 바로 수산업 소득이 높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귀농 가구와 달리 귀어 가구는 3~40대의 젊은 층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귀어 인구 전체의 55%가 이들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젊은 층이 왜 어촌으로 가고 있는 것일까요?

 

젊은 층에서 귀어 현상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바로 어촌에서 하는 양식업이 고소득을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복 양식 등으로 억대 부자 대열에 합류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귀어 가구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귀어 가구의 주 종사분야는 김과 전복 양식 등 주로 소득이 높은 업종입니다. 그중 해조류 양식이 44%, 조개류양식이 33%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가로 2.4m, 세로 2.4m의 가두리 양식장에서 1만 마리의 전복이 생산되고 연간 2천만 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양식으로 전라남도 어민의 10%가 지난해 연간 1억 원 이상 소득을 올렸습니다.

 

어촌, 귀어, 귀농, 어부, 양식, 젊은 층, 귀어현상, 귀어란?, 귀어가구(사진출처:이미지투데이)

 

이렇게 귀어 가구가 증가하면서 활기를 잃어가던 어촌도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3040세대 젊은 귀어 가구가 급증해 그들의 자녀들까지 함께 어촌으로 오게 되면서 초등학교, 어린이집 등도 활기를 되찾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귀어를 하기 위해서는 어떤 사전 준비가 필요할까요? 귀어는 쉬워 보이지만 귀어를 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많은 어려움도 존재합니다.

 

귀어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수산업 관련 법령, 어업권 허가 취득 방법, 수산양식기술 창업 성공사례 등 귀어 전에 철저한 사전조사와 정보습득이 필수적입니다.

 

그리고 귀어가구가 된다고 해도 무조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태풍 같은 기상 이변이 덮치면 양식장이 쓸려갈 위험도 있습니다. 게다가 영농과 달리 양식업은 어업 면허권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그 지역에 아는 사람이 없으면 사실상 많이 힘들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해양수산인재개발원 등에서는 귀어 희망자 교육을 통해 도시민들의 어촌정착을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귀어를 생각할 때는 믿을 수 있는 기관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다방면에서 습득하고 철저하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지금까지 우리나라 귀어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3040세대의 귀어 도전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도시를 떠나 어촌에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는 모든 분들께 응원을 보냅니다. :)

 

참고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