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스토리/자유광장은 지금!

원화가치 상승, 제조업이 위험하다

급락하는 원달러 환율로 인해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작년 중반 1,135.2원까지 올라갔던 원화는 이후 계속 떨어져 5월 현재 1,029.7원까지 하락한 상황입니다. 원화 강세가 지속되면 경영 환경이 악화되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 제품 가격이 올라 수출에 빨간 불이 켜지는 것은 물론, 이미 수출 대금으로 받은 달러를 환전할 때 받게되는 돈도 줄어듭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요 대기업 120개사를 대상으로 [원화강세에 따른 산업별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드러난 원/달러 손익 분기 환율은 1,052.3원입니다. 올해 초, 사업계획을 세웠을 당시 기준 환율은 1,077.9원이었구요. 따라서 최근의 원화 강세가 지속될 경우, 기업들의 경영에 큰 차질이 생길 전망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업종별 원달러 손익분기 환율은 아래와 같이 나왔습니다.

 

 

업종별로는 조선업의 손익분기 환율이 1,125.0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음식료(1,075.0원), 펄프․종이․가구(1,067.9원), 석유화학(1,066.7원), 전자․통신(1,052.3원), 자동차․부품(1,050.0원)의 순서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원재료 수입비중이 높은 산업인 비금속광물(1,025.0원), 섬유(1,025.0원), 철강•비철금속(1,032.1원) 등의 손익분기 환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됐습니다.

 

이 결과에 대해 조선업 관계자는 “지금 자금이 회수되는 부분은 2~3년 전 선가가 매우 낮은 수준일 때 수주된 것”이라고 말하며 “적정 수익성을 보장받으려면 환율이 현 수준보다 상당히 높아야한다”며 최근 원화강세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또 원화가치가 10% 상승할 경우 제조업의 영업이익률은 평균 0.8%p 하락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영업이익률 하락폭이 큰 업종으로는 의약품(1.5%p), 전자‧통신(1.5%p), 조선(1.3%p), 펄프‧종이‧가구(1.1%p) 순서로 나타났습니다. 비금속광물의 경우 원자재 수입비중이 높아 영업이익률 감소폭(0.3%p)이 가장 낮았습니다.

 

 

그렇다면 원화 가치 상승으로 경영실적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기업들은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기업들은 원가절감노력(42.0%), 환헤지용 파생상품 투자확대(16.8%), 수출단가 조정 추진(16.8%) 등 자체 대응 노력을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별다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기업들도 15.3%에 달했습니다.

 

앞서 말했듯 원화 강세는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많은 기업들은 올해 연평균 환율을 1,050원 수준으로 예상하고 사업 계획을 추진해 왔습니다. 하지만 예측을 빗겨간 지속적인 원화강세로 인해 기업들은 다양한 방법의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의 경영 악화를 보호할 방법은 없을까요? 정부의 어떤 대책이 지금 원화강세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에 도움이 될까요?

 

기업들은 원화가치 강세에 대한 정부의 대응 정책으로 확장적 통화정책 강화(45.8%), 수출금융•보증지원 확대(27.5%), 마케팅 등 수출인프라 구축(10.8%), 환위험 헤지상품 개발 유도(10.0%)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조사와 관련해 전경련 유환익 산업본부장은 “최근 미국의 1분기 GDP 성장률이 0.1%로 크게 둔화되는 등 거시지표 불안정으로 금리인상 시기가 지연될 수 있고, 이에 따른 글로벌 달러 약세 및 원화 강세가 상당기간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어 “원화 강세에 따른 국내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 약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이 시급한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유환익 산업본부장의 말처럼, 시기 적절한 대응책으로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의 가격경쟁력을 지켜줄 때입니다.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높여줄 정책적인 해법 마련. 지금 절실하게 필요해 보입니다.

 


 * 본 포스팅은 전경련 산업정책팀 이서윤 연구원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