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출산율과 가장 빠른 고령화 국가로 손꼽힙니다. 전체 국민 가운데 만 2세 이하의 영유아는 130만 명, 만 65세 이상 노인은 670만 명인데요. 특이한 것은 영유아를 위한 전문용품점은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노인들을 위한 시니어 제품 전문점은 거의 없다는 사실이죠.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시니어 산업에 대한 보다 폭넓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때입니다.
한중일 시니어 인구 1억7천 만, 시니어 산업의 잠재력은?
세계 1위 초고령 국가인 일본과 산아제한으로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중국까지, 현재 한국을 비롯한 일본과 중국의 시니어 인구는 1억7천만 명에 이릅니다. 2030년에는 2억9천만 명까지 증가할 전망인데요. 이러한 노인층 인구 증가 추세에 따라 시니어 제품은 미래 주력 수출산업으로 발전할 충분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내수 측면에서도 경제력 있는 베이비부머 부상과 시니어 제품에 IT가 결합되며 우리나라에 큰 기회 요인이 되고 있는데요. 스마트폰과 연동한 건강측정 및 관리용 제품과 거동이 불편한 시니어가 위기 상황 시 긴급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등 각종 제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시니어 제품 분야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종류도 부족하고 관련 정보 및 유통망도 미흡한 상태인데요.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며 시니어 산업의 성공 요인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일본 시니어 산업의 성공 요인은?
1. 제품 활성화를 위한 직접 체험 활용 - 시니어 체험관
일본은 1990년부터 전국 81개 시니어 제품 상설전시 및 체험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니어 제품 활성화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는데요. 특히, 최대 규모를 자랑하고 있는 오사카의 체험관에는 시니어 개조차량, 전동휠체어부터 일상용품까지 2천여 종류의 다양한 시니어제품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특히, 개인 신체특성에 적합한 용품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어 연간 20여만 명이 방문할 정도로 인기가 높습니다.
ACT Ageless Center 구조(출처 : ACT 홈페이지)와 체험 가능한 시니어 제품(출처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 손쉽게 구매하는 시니어 제품 - 접근성 높인 유통망
일본에서는 편의점, 쇼핑몰, 백화점 등 어디서나 다양한 시니어 제품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는데요. 특히, 일본 유통기업 로손사는 시니어들이 가까운 동네 편의점 쇼핑을 선호한다는 점에 착안, 편의점 내 70여 가지의 시니어 제품을 진열하고 상담코너도 갖춰 놓았습니다. 또한, 한 대형마트는 자체 시니어용 PB상품을 운영하고 있으며, 도시락 택배회사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위해 개인 특성에 따라 식재료와 칼로리 등을 고려한 도시락 택배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로손편의점 시니어 식품(왼), 재택 배식 도시락(오, 출처 : 보건산업진흥원('13))
3. 노인 맞춤 서비스 - 신체적 능력에 따른 식품 규격의 매뉴얼화
체력이 약한 고령층을 고려한 식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일본의 *개호식품협의회는 ‘유니버셜 디자인푸드 제도’를 도입하여 시니어 식품 규격을 매뉴얼화하여 엄격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즉, 씹는 능력 등 구매자의 신체적 능력에 맞춰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식품의 형상이나 물성, 용기 등을 고안해 제조한 것인데요. 이에 따라 식품별 경도를 단계별로 수치화하여 제품 앞면에 표기하여 어떤 식품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했으며, 자체 인증마크로 제품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섭취에 용이한 짧은 면 파스타, 고단백 커스타드, 갈아 만든 복숭아와 바나나(출처 : 일본 유니버셜 디자인푸드)
*개호 : 곁에서 돌봐준다는 뜻으로, 고령층을 고려한 식품이나 서비스를 의미
결국 시니어 제품 산업의 성공은 써 보니 편리하다는 경험 확산이 관건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일본처럼 구매가 편리한 유통채널에 기업이 적극 진출하고, 정부가 한국판 유니버셜 디자인푸드 제도를 도입하는 등 제품 표준화에 앞장서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상설전시장 설치를 확대한다면, 충분히 발전 가능한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데요. 남녀노소 누구나 행복할 수 있는 나라, 내일의 대한민국을 향해 다 함께 달려갑시다!
* 본 포스팅은 전경련 미래산업팀 김성도 연구원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경제스토리 > 자유광장은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경제 부활의 비결은? 바로 사업재편 지원제도! (0) | 2015.10.13 |
---|---|
서울보다 지방근무? 지방대학생의 달라진 취업 트렌드 (6) | 2015.10.12 |
호주 시장이 뜨고 있다?! 수출이 늘어나는 한호 FTA 효과 (0) | 2015.10.06 |
7개월 만에 100을 넘다! 경기 회복의 신호탄일까? (0) | 2015.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