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스토리/자유광장은 지금!

직장인 노후준비, 어떤 방법으로 해야할까?

직장인 노후준비, 직장인들의 노후 진로 선호도는?

 

 

노후, 직장인 노후, 직장인 노후 진로, 노후 대비법


인간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노후에 대한 준비도 중요한 시대가 습니다. 퇴직을 하고 나서도 최대 2-30년 더 생계를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노후 대책이 반드시 필요한 때가 되었는데요. 요즘 직장인들은 노후가 언제부터라고 생각하고 있을까요?

 

우리나라 남녀직장인 376명을 대상으로 HR파트너스노후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노후는 57세부터 라고 하였고 직장인이 노후에 필요한 생활비는 한달 평균 150만원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정년을 채우기 힘든 구조를 통해 정년 시기가 앞당겨 진 결과입니다. 또 최근 직장인들은 일반적으로 노후 준비라고 하면 먼저 돈을 떠올렸으며 자식보다는 돈이라는 대답이 많았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민연금제도를 통해서 노후에 얼마 정도 돈을 받을 수 있게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있는 재원으로 우리나라의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노인 전부를 부양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현재 2-30대 직장인들이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하는 문제 역시 불투명한 상황이기 때문에 더욱이 개인적인 노후 대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현재 직장인들은 언제부터 노후 대비를 해야 할까요? 늦어도 38세부터는 노후대책을 위한 저축을 실행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입니다. 실제로 현재 직장인의 54.5%가 노후에 대한 자금 준비를 하고 있으며 한달 평균 38만원을 저축하여 노후를 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직장인들은 노후를 여가생활로만 보내기 보다는 활동적으로 사회생활, 경제활동을 하며 지내길 바라는 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직장인들의 노후 무엇을 하며 살아가고 싶은지 진로 선호도를 확인해볼까요?

 

 

직장인 노후 진로 선호도, 노후대책, 노후대비, 직장인 노후

 

노후에는 무엇을 하며 보내고 싶은가에 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21.3%가 임대사업을 해서 매월 임대료를 받고 싶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공인중개사나 직업상담사 등 전문직으로 일할 수 있는 특정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다(16.0%)는 답변과, 취미 여가생활만 하고 싶다(16.0%)는 답변이 나왔습니다. 이외에도 정규직으로 직장생활을 하고 싶다(13.8%)거나 비정규직으로 소일꺼리를 하고 싶다(13.3%) 창업을 해서 사업체를 운영하고 싶다(11.7%)는 답변이 높아 직장인들이 노후에도 사회활동 및 경제활동을 하고 싶어하는 욕구를 엿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노후에 대해 다양한 생각과 계획을 갖고 있는 직장인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그렇다면 직장인들은 현재 어떤 방식으로 노후를 준비하고 있을까요?

 

노후를 준비 중이라고 답한 직장인들 중 연금보험상품에 가입했다는 직장인이 40.8%비율로 가장 많게 나타났습니다. 다음으로 예금•적금(36.5%), 국민연금(9.8%), 부동산 투자(7.3%), 주식투자(3.0%), 펀드투자(2.4%), 기타(0.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전문가는 평범한 직장인의 노후 대책을 위해서는 개인 저축과 개인연금가입 그리고 절약이 가장 좋은 노후 대비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직장인 노후 진로, 노후 진로 선호도, 직장인 노후, 노후대책


지금까지 직장인들의 노후 준비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은 현재 노후에 대해 어떤 준비와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 아직 준비 전이라면 지금부터라도 구체적인 노후계획을 세워 노후 준비를 시작해보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