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기부채납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 시급
관련 법령에 명확한 기준이 없어 인허가 관청이 개발사업의 인허가를 조건으로 과도한 기부채납을 요구하거나 사업 간 형평성에 맞지 않는 기부채납을 요구하고 있어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전경련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에 등록된 부동산개발사업자 약 80% 정도가 관청의 기부채납 요구가 과도하다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부채납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응답자의 35%가 기부채납에 대한 명확한 기준 부재를 꼽았다.
<참고> 기부채납이란?
· 민간 또는 단체가 그 재산을 무상으로 국가 또는 공공기관에 이전할 것을 표시하고 국가나 공공단체는 이를 승낙함으로
성립하는 증여계약의 일종
· 일반적으로 지자체가 건축허가 주택사업승인 등 각종 인허가를 조건으로 도로, 공원, 학교 등 공공 시설을 설치할 것을
관행적으로 요구하고 있음
· 기부채납의 범위, 상한을 제한하는 법령이 없어 인허가 관청이 종종 과도하거나 사업과는 무관한 기부채납 요구가 발생
하고 있음
· 민간 또는 단체가 그 재산을 무상으로 국가 또는 공공기관에 이전할 것을 표시하고 국가나 공공단체는 이를 승낙함으로
성립하는 증여계약의 일종
· 일반적으로 지자체가 건축허가 주택사업승인 등 각종 인허가를 조건으로 도로, 공원, 학교 등 공공 시설을 설치할 것을
관행적으로 요구하고 있음
· 기부채납의 범위, 상한을 제한하는 법령이 없어 인허가 관청이 종종 과도하거나 사업과는 무관한 기부채납 요구가 발생
하고 있음
'경제스토리 > 자유광장은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11-17] 우리나라 12월 초 무역 1조 달러 달성 전망 (0) | 2011.12.02 |
---|---|
[2011-11-16] 한일 양국기업, 공동번영을 위한 새로운 협력방안 모색 (0) | 2011.12.02 |
<한국사 교과서 이렇게 바꿔주세요 9> 수출과 자유무역, 세계화로 한국이 피해를 보았을까? (0) | 2011.11.25 |
<한국사 교과서 이렇게 바꿔주세요 8> 산업화에 따른 도시화, 환경개선의 부정적측면만 강조 (0) | 2011.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