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스토리/자유광장은 지금!

이제는 아프리카다…아프리카판 일대일로 사업 뚫어야

전경련이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추진 중인 아프리카에 우리 기업 세일즈에 나섰다.




전경련은 외교부와 공동으로 5월 24일(수) 오후 12시 전경련회관에서 “2017 아프리카 데이”를 개최했다. 전경련은 아프리카 정부와 한국 경제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아프리카단결기구(OAU) 창립일(5.25)인 ‘아프리카 데이’를 계기로 2011년부터 매년 주한 공관장 초청 비즈니스 오찬 및 세미나 등을 주최하고 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환영사에서 “아프리카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PIDA 2040)*에 따르면 2020년 아프리카 인프라 개발수요가 680억 달러에 이른다”며, “한국 기업들은 중동, 아세안 인프라 시장에서 40년 이상의 경험을 통해 기술력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어 성장의 초석을 다져가는 아프리카에 한국은 최적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PIDA(Program for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Africa) 2040 >

 프로젝트 개요

 ㅇ 아프리카연합(AU), 아프리카 개발은행(AfDB)가 주도하여 수립한 아프리카 인프라 통합 마스터플랜

 ㅇ 2040년까지 전력·교통·수자원·정보통신 4대 분야에서 인프라 연결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함

 PIDA 로드맵

 인프라 개발 계획

 규모

 고속도로 현대화

 37,300km

 철도 현대화

 30,200km

 항만 확장

 13억 톤

 수력발전 건설

 61,099MW

 국가 간 전력선 연결

 16,500km

 신(新) 수자원 저장능력

 20,101hm3

 ICT 국제 광대역 용량

 6테라비트 

※자료 : PIDA Study, AfDB, 무역협회(2015)




국제금융기구 투자금을 활용한 아프리카 진출방안 소개
오찬에 이어서는 「아프리카 프로젝트 금융조달 세미나」가 열렸다.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국제금융공사(IFC),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등의 국제금융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석해 국제기구의 아프리카 개발 투자금을 활용한 인프라 프로젝트 진출방안을 소개했다. 

한국의 아프리카 투자는 ‘00년 이후 총 34.5억 달러(수출입은행 기준)로 주요국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중국은 00년 열린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FOCAC)’에서 아프리카 인프라 구축을 위해 18년까지 6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발표했다. 미국 역시 14년 330억 달러 상당의 투자를 약속했고, 지난해 아베 일본 총리도 아프리카에 3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선언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우리 기업은 기술력은 뛰어나나 경쟁국에 비해 자금력이 부족해 아프리카 사업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경제계 차원에서 국제금융기구 주도 개발사업과 민관 협력 컨소시엄 등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가나, 앙골라, 이집트, 남아공, 에티오피아 등 아프리카 19개국의 주한·중·일 주재 대사 등과 최종문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 이주영 국회 아프리카 새시대포럼 회장, 김희용 동양물산기업 회장, 조해형 나라홀딩스 회장, 김일수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