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스토리/자유광장은 지금!

우리나라 평균연봉은 얼마나 올랐을까?! 근로자 연봉 분석해 보니

2015년도 소득분위별 근로자 연봉 분석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얼마나 될까요? 지난해 근로자 평균연봉은 3,281만 원이었는데요. 100명 중 소득 상위 50번째에 해당하는 근로자의 연봉은 2,500만 원이며, 상위 10%에 해당하는 근로자의 연봉은 6,432만 원이었습니다.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연봉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경련이 발표한 ‘2015년도 소득분위별 근로자 연봉 분석’ 결과에 따른 것으로, 소득분위는 전체 임금근로자를 연봉 수준에 따라 하위 1분위부터 상위 10분위까지 10%씩 10단계로 분류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그럼, 우리나라 근로자 연봉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근로자 평균연봉은 3,281만 원, 중위연봉은 2,500만 원

‘2015년도 소득분위별 근로자 연봉 분석’은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의 1,468만 명에 대한 원시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한 자료인데요. 분석대상은 고용주,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등을 제외한 임금근로자이며, 연봉은 정액, 초과, 특별급여를 합한 금액입니다.


소득분위별 근로자 연봉하한액 현황

근로자 중 상위 10%의 연봉은 6,432만 원 이상, 상위 20%는 4,625만 원 이상, 상위 30%는 3,640만 원 이상, 상위 40%는 3,000만 원 이상, 상위 50%는 2,500만 원 이상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2015년도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3,281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위연봉 : 근로자 100명 중 소득 상위 50번째에 해당하는 근로자의 연봉


소득분위별 근로자 평균연봉 연봉하한액 추이

특히, 2014년에서 2015년 동안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3,234만 원에서 3,281만 원으로 47만 원(1.5%) 올랐고, 중위연봉은 2,465만 원에서 2,500만 원으로 35만 원(1.4%) 올랐습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정규직 평균연봉은 2배가량 차이
근로자 특성별 연봉 추이

이와 함께 근로자 특성별 연봉 수준을 살펴보면, 2015년도 대기업 정규직 평균연봉은 6,544만 원으로 소득 상위 9.5%에 해당했고, 중소기업 정규직 평균연봉은 3,363만 원으로 소득 상위 34.1%에 해당했습니다. 2014년 대비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연봉은 266만 원(4.2%)이 올랐으며, 중소기업 정규직의 평균연봉도 40만 원(1.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봉 1억 원 이상 근로자는 2.7%, 2천만 원 이하 근로자는 36.5%
연봉금액별 근로자수 비중

한편, 2015년도 연봉금액별 근로자수를 살펴보면, 연봉 ‘1억 원 이상’의 근로자는 39만 명으로 전체의 2.7%였으며, ‘1억 미만∼8천만 원’은 41만 명(2.8%), ‘8천만 원 미만∼6천만 원’은 96만 명(6.5%), ‘6천만 원 미만∼4천만 원’은 203만 명(13.8%)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또한, ‘4천만 원 미만∼2천만 원’은 554만 명(37.7%), ‘2천만 원 미만’은 535만 명(36.5%)으로 나타났습니다.

2014년 대비 근로자 수 분포가 늘어난 구간을 살펴보면, ‘4천만 원 미만~2천만 원’이 31만 명(5.8%), ‘6천만 원 미만~4천만 원’ 12만 명(6.1%), ‘2천만 원 미만’ 11만 명(2.1%), ‘8천만 원 미만~6천만 원’ 7만 명(8.4%), ‘1억 원 이상’ 4만 명(11.6%) 등의 순이었는데요. 반면에 근로자 수가 감소한 구간은 ‘1억 원 미만~8천만 원’으로 1만 명(-1.5%)이 줄었습니다.

조사 결과, 중국발 경기침체와 내수부진 등 대내외적 악재 속에서도 지난해 근로자의 연봉은 전년 대비 대체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특히,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의 연봉이 큰 폭으로 올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 격차가 더욱 크게 벌어졌습니다. 그럼에도 최근 소득 상위 10% 이상인 대기업 정규직 노조가 임금 인상 등을 이유로 파업을 결정했다는 소식이 잇따르고 있어 우려되고 있습니다. 원청업체가 파업에 들어가면 함께 생산라인을 멈춰야 하는 다수의 하청기업 근로자에게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이제는 파업을 최대한 자제하고 상생을 위한 최선의 노력으로 함께 손잡고 나아가야 할 때입니다!


* 본 포스팅은 전경련 환경노동팀 신민섭 책임연구원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