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의 메카’로 불리는 울산 동구는 IMF 경제위기도 비켜갔다는 말이 있을 만큼 경기침체와는 거리가 먼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조선업의 불황으로 지역 대표기업인 현대중공업에게 위기가 닥치자 지역 경제에도 깊은 주름살이 드리우기 시작했습니다. 반면, 경기도 파주 지역은 LG디스플레이가 생산공장 투자를 시작으로 매년 새로운 투자를 추진하며 울산과 뚜렷한 대비를 이루고 있는데요. LG그룹은 장기간에 걸친 대규모 투자로 파주지역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업 투자는 지역 내 사업체, 종사자, 세수를 늘리고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이끌며, 기업의 투자 위축은 해당 기업뿐만 아니라 지역 산업의 위기로 이어집니다. 즉, 각 지역에 자리잡은 대표 기업들의 투자가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전경련이 경기도 파주와 울산 동구를 대상으로 각 지역의 사업체 수, 인구 수, 인프라 등 주요 경제지표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대기업 투자로 인한 지역경제의 낙수효과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바람 부는 경기도 파주, LG그룹의 대규모 투자로 기업도시로 발전
LG그룹은 2004년 LG디스플레이 생산공장 투자를 시작으로 2010년 LED 생산공장을 준공하는 등 파주지역 LCD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2004년 7세대 LCD 생산라인에 투자한 이후 매년 새로운 투자를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10조원 규모의 신규 투자 계획을 공표했습니다.
LG그룹이 파주지역에 투자하기 직전인 2003년과 투자 10년째인 2013년을 비교해 보면, 종업원 10인 이상의 사업체 수는 약 2배, 종사자 수는 약 2.6배 증가했습니다. 대규모 공장이 본격 가동됐던 2006년과 2010년 직후에 사업체와 종사자 수 모두가 크게 증가한 것입니다.
파주시 인구는 대규모 공장 가동이 시작된 2006년과 2010년을 전후로 10%가 넘는 증가율을 보였는데요. 이는 같은 기간 경기도의 연평균 인구증가율보다 빠른 것입니다. 인구 증가에 따라 지역 내 유통·교육·인프라도 확충되기 시작했는데요. 대형마트와 쇼핑센터가 새롭게 문을 열고, 의료기관도 2배 이상 늘어났으며, 공공도서관과 체육시설 등도 꾸준히 증가하는 등 기업의 투자가 지역의 생활환경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관내 사업체 수와 인구가 증가하면서 파주시의 지방세 징수액도 3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해당지역의 경제성장 정도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GRDP 역시 대규모 공장의 가동시점에 맞춰 퀀텀점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경기도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던 파주시의 1인당 GRDP 역시 2006년부터 급증하여 경기도 평균을 지속 상회하는 등 파주시가 대표적인 경제 발전지역으로 우뚝 섰습니다.
찬바람 부는 울산 동구, 현대중공업 위기로 지역 경기도 위축
현대중공업은 조선업 불황으로 영업이익이 하락하면서 2012년부터 긴축경영이 본격화됐는데요. 이에 따라 울산 동구의 경기도 함께 위축되기 시작했습니다. 2008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던 지역 내 사업체 수도 2012년 마이너스로 급전환됐으며, 종업원을 5인 미만으로 고용하고 있는 영세 사업체가 전체 사업체에 비해 더 크게 감소했습니다. 즉, 대기업의 경영 위축이 자립기반이 취약한 영세사업체들에겐 더 큰 위협으로 작용한 것이죠.
2014년에 인구 증가폭이 대폭 줄어든 울산 동구는 2015년부터 본격적인 인구감소가 시작됐습니다. 인구 증가율 둔화는 지역 상권에도 영향을 미쳐 숙박 및 음식점업의 증가세 둔화와 헬스장, 노래방 등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사업체 수의 감소로 이어졌는데요. 기업의 투자 위축이 일자리 감소를 불러오고, 지역 내 자영업의 기반 약화로 연결되면서 지역경제 전체에 위기를 가져온 것입니다.
현대중공업이 영업이익 적자로 돌아선 2013년부터 울산 동구의 지방세 징수액도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방세 징수액 감소율은 2년 연속 두 자리 수를 기록하고 있는데요. GRDP 역시 현대중공업의 영업이익이 하락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었습니다.
기업의 선도적 투자 확대 지원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번 조사를 통해 대기업의 투자가 일자리를 창출하고 세수를 증대시켜 지역경제 발전을 이끈다는 사실을 경제지표로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대기업 투자로 인한 지역경제에 낙수효과가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 최근의 어려운 경제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기업들이 선도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 또한 시급합니다. 적극적인 규제 완화와 세제 개선으로 대기업들의 보다 많은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 본 포스팅은 전경련 재정금융팀 여정석 책임연구원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경제스토리 > 자유광장은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활성화, 파란불에서 빨간불로? 경기전망, 한달만에 다시 ‘부정적’ (0) | 2016.06.01 |
---|---|
여름날을 아름답게 수놓을 음악 산책 ‘2016 전경련회관 정원음악회’ (0) | 2016.06.01 |
‘전국 보듬이나눔이어린이집 봉사활동’에서 깜짝 일일교사로 나선 전경련 임직원들 (0) | 2016.05.24 |
노동개혁이 필요한 때! 위기 이후 국가 경쟁력, 노동개혁이 열쇠 (0) | 2016.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