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셜스퀘어/요즘뜨는이야기

흥행 롱런 중! 영화 '인턴'이 박스오피스 역주행하는 5가지 이유

개봉 첫날 박스오피스 3위로 출발한 영화 <인턴>이 차트를 역주행해, 현재는 270만이 넘는 관객을 동원하며 2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데요. 사실 <인턴>은 아주 새로운 영화는 아닙니다. 영화 비평 사이트 로튼토마토에서 신선도 지수 60%에 불과할 만큼 좋은 평을 받지 못했고, 미국 박스오피스에선 개봉 첫날 2위로 시작해 2주 만에 겨우 손익분기점에 도달했죠.

영화 인턴 포스터


하지만 한국 관객들은 <인턴>에서 뭔가 새로운 점을 찾았고, 이것이 입소문을 통해 흥행으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달콤한 로맨스도, 정통 코미디도 아닌 <인턴>의 장점은 70세 남성 인턴과 30세 여성 CEO라는 사회적 고정관념을 뒤집은 반전 매력에 있습니다. 한국 관객들이 <인턴>에 빠진 5가지 이유소셜프렌즈 ‘양유창’ 님이 지금 소개합니다~


1. 뉴욕 배경의 따뜻한 감성영화

작년 가을 <비긴 어게인>이 있었다면, 올가을엔 <인턴>이 있죠. 두 편 모두 뉴욕을 배경으로 한 따뜻한 감성영화라는 것이 공통점입니다. 한국 영화시장엔 규모가 작아도 모던하고 근사한 뉴욕 혹은 유럽 배경 영화에 열광하는 관객층이 존재하는데요. 이들이 <어바웃 타임>, <언터처블: 1%의 우정>, <블랙스완> 등의 흥행을 이끌었습니다.

영화 인턴 앤 해서웨이, 줄스 오스틴, 로버트 드 니로, 벤

이미지 출처 : 워너브라더스코리아


2. 든든한 키다리 할아버지 판타지

많은 사람이 갖고 싶어하는 ‘개인 비서’. 인공지능 로봇 회사들이 가장 큰 시장으로 보고 있는 분야도 개인 비서입니다. 인생 경험이 많으면서도 젠체하지 않고, 사려 깊게 말하면서도 유머러스하고, 친구이면서 가족 같고, 매번 상황에 맞는 행동을 찾아서 하는 벤 휘태커(로버트 드 니로)는 키다리 할아버지 판타지를 충족시키죠. 여성에게 울면 손수건을 건네주고, 침실로 불러도 수작 부리지 않는 젠틀맨이기도 합니다.


3. 스타트업&워킹맘 공감대

영화 인턴 워킹맘

이미지 출처 : 워너브라더스코리아


극 중 줄스 오스틴(앤 해서웨이)은 딸을 키우다가 창업을 했습니다. 그가 만든 패션 쇼핑 사이트가 대박이 나면서 직원 200명이 넘는 회사로 성장했는데요. 회사가 너무 커져 이사회는 그에게 전문 경영인을 영입하라 충고합니다. 미국 못지 않게 스타트업 열풍이 불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줄스는 예비 창업자들의 워너비이기도 한데요. 또 그녀는 열정적으로 일하면서도 가정에 소홀해지고 싶지 않은 워킹맘이라는 점.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줄스의 고민은 창업을 꿈꾸고, 일과 삶에 균형을 맞추고 싶어하는 20~40대 관객들의 고민과 통한 것이겠죠.


4. 꽃할배의 클래식한 매력

영화 <인턴>은 늙는 것이 공포가 아니라 말합니다. “뮤지션에겐 은퇴가 없어요. 더 이상 들려줄 음악이 없으면 사라질 뿐이죠. 제 안엔 아직 음악이 남아 있어요.” 벤이 입사 지원 자기소개 비디오에 남긴 말입니다. 낸시 마이어스 감독은 원래 ‘벤’ 역할로 잭 니콜슨을 생각했지만, 결국 로버트 드 니로가 맡았다고 하죠.

영화 인턴 클래식 패션

이미지 출처 : 워너브라더스코리아


니콜슨과 드 니로의 공통점은 모두 노년의 매력이 철철 넘치는 배우들이란 점. 드 니로는 젊은 시절 터프가이 이미지를 완전히 걷어내고, 자상하고 섬세한 매력남으로 변신했습니다. 동료들의 연애코치, 스트레스 상담사, 위기 해결사, 보모 역할을 자처하며 회사의 모든 이가 그를 좋아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동안 나이든 이들을 울린 문장은 “너의 젊음이 노력에 대한 상이 아니듯, 나의 늙음 또한 나의 잘못에 대한 벌이 아니다”며 자신을 위로하던 영화 <은교>의 대사였습니다. 하지만 <인턴>으로 노년층에겐 새로운 롤모델이 생긴 셈입니다. 슈퍼히어로 영화가 난무하는 요즘, 벤은 젊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시니어의 매력을 하나로 모은 히어로가 됐습니다. 젊은이들에게 다가가고 싶은 시니어라면, 벤을 벤치마킹해보길!


5. 세대 간의 소통과 화합

30세 여성 CEO와 70세 남성 인턴은 반전 구도지만, 두 사람은 처음부터 끝까지 불화 없이 조화롭게 지냅니다. 세대 간 갈등이 커지고 있는 한국에선 보기 드문 광경이죠. 문화적 차이는 있겠지만,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이처럼 자연스럽게 나이와 직급 차를 극복하고 친구가 되는 이야기는 드뭅니다.

영화 인턴 소통 화합

이미지 출처 : 워너브라더스코리아


부사장까지 지냈지만 “내 나이가 몇인데?”라며 윽박지르지 않는 어른, “다시 돌아와 주시겠어요?”라며 자신의 잘못을 사과하려 인턴을 직접 찾아가는 CEO의 이야기. 드라마 <미생>의 장그래가 사장과 친구가 되고, <은교>의 이적요가 은교와 성적 긴장감 없이 대화를 나누는 이야기를 상상할 수 있을까요?

결국, 소통의 비결은 서로를 이해하고, 자기만의 방식을 강요하지 않는 것입니다. 출근 첫날 벤은 노트북을 켜놓은 채 종이 신문을 펼쳐 들죠. 하지만 며칠 후 젊은이의 전유물과도 같은 페이스북에 가입합니다. 벤의 옆자리에 앉아 있던 젊은 동료는 벤의 40년 된 가방이 빈티지하다며 칭찬하기도 하고요. 갈등의 봉합은 이렇게 가벼운 칭찬변화에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영화 <인턴>은 보여주고 있습니다.

원본 포스팅 바로가기 ▶ http://goo.gl/WCeWDw


소셜프렌즈 양유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