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브라질, 포괄적 경제협력관계로 윈윈할 수 있는 이유는?
삼바의 나라이자 축구의 나라. 열정과 정열이 가득한 나라라고 한다면 여러분은 어떤 나라가 연상되시나요?
(사진출처:이미지투데이)
모두 망설임 없이 ‘브라질’을 외치셨을 텐데요. 브라질은 삼바와 축구가 유명하지만, 앞으로는 우리의 경제협력파트너로서도 자주 만날 것 같습니다. 바로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브라질과 포괄적인 경제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나섰기 때문입니다.
(사진출처:엑스포츠뉴스)
경제규모 세계 7위, 중남미 최대경제대국이자 BRICs 국가 중 두번째로 큰 시장 규모를 갖춘 국가 브라질. 브라질과 한국 기업이 교역•투자, 산업협력, 인적교류 및 경제개발 경험 공유를 통해 포괄적 경제협력관계가 되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사진출처:연합뉴스)
전경련은 한-브라질 경제협력위원회 정준양 위원장(포스코 회장)과 철강, 자동차, 건설, 금융업을 대표하는 40여 명의 경제대표단을 상파울루로 파견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10월 9일 양국 경제인 1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한-브라질 비즈니스포럼을 개최했습니다.
브라질과 한국이 새로운 경제협력 관계로서 함께 성장할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자유광장과 함께 비즈니스 포럼이 열렸던 브라질 상파울루 현장으로 함께 떠나볼까요?
한국과 브라질의 상호보완적 산업구조가 브라질을 최고의 협력 파트너로 만들어 - 경제협력위원회 정준양 위원장
(사진출처:조선비즈)
브라질은 BRICs 국가 중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규모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와는 상호보완적인 산업구조의 형태를 띠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철강, 자동차, 건설ㆍ인프라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과 많은 경험이 있습니다. 반면 브라질은 세계적인 철강, 자동차 생산국인 동시에 중남미에서 제조업 기반이 가장 앞선 국가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작년 말, 브라질은 이미 우리나라의 對중남미 전체 교역액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포스코,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등 우리 기업들은 브라질 현지에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포스코는 전체 연간 철광석 소요량의 22%에 달하는 22억 불을 브라질에서 구매하고 있습니다.
브라질과 한국이 새로운 경제협력 관계로 성장할 수 있는 이유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우리 기업과 현지 업체의 협력관계 유지, 현지 고용 창출과 CSR은 브라질 현지에서 긍정적 평가 – 현대차 브라질법인 진의환 이사
(사진출처:연합뉴스)
이미 두원, 화신, 명신 등 8개 국내 중소기업이 브라질에 동반 진출했는데요. 이들은 21개의 브라질 현지업체와 협력 관계를 유지해 양국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브라질에 진출한 우리 기업이 수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면서, 브라질 현지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지금까지 브라질 현지에서 약 2,800명의 일자리를 창출했으며 현지사회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브라질의 커다란 시장, 제조업 기반의 풍부한 인적자원, 우리 산업과의 상호보완적 구조 등은 향후 브라질이 우리나라의 최고 경제협력 파트너가 될 수 있는 이유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브라질과 장기적으로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국과 브라질 양국의 경제규모에 맞는 협력관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개발경험을 브라질에 전수하는 Knowledge Sharing Program(KSP)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지금까지의 G2G(정부對정부) 사업 위주에서 벗어나는 노력 역시 필요한데요. 특정 산업에서 한국 기업의 개발경험과 경영노하우를 브라질 정부나 기업에 전수해주는 B2G(기업對정부) 또는 B2B(기업對기업)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우리 기업이 현지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내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사진출처:이미지투데이)
지금까지 한-브라질 비즈니스포럼 현장을 살펴보았습니다. 앞으로 우리나라와 브라질의 경제협력이 무척이나 기대가 되는데요. 브라질의 열정과 한국의 기업이 만나 멋진 결과를 창출해 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
* 본 포스팅은 전경련 신흥시장팀 장은경 조사역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경제스토리 > 자유광장은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용 전기요금에 대한 오해와 진실(팟케스트라 제24편) (1) | 2013.10.17 |
---|---|
주요 대기업 동반성장 적극 추진 중인 배경은? (4) | 2013.10.16 |
산업용 전기요금 관련 공청회, 찬반 의견 분분 (0) | 2013.10.14 |
윤리경영 성공사례 배우러 일본으로 - 일본 윤리경영 연수단 파견 (2) | 201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