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스토리/자유광장은 지금!

맞벌이 직장인의 자녀 평균 양육비는?

맞벌이 직장인 영유아 자녀 양육비 평균은?


맞벌이 하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영유아 자녀를 어린이 집이나 유치원 등의 보육시설에 맡기고 출근하는 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맞벌이 직장인 10명 중 6명이 자녀를 보육기관에 맡기고 있는 것인데요.

 

맞벌이, 양육, 육아, 유치원, 어린이집, 양육비, 맞벌이 부부, 유아원, 보육시설, 보육기관, 맞벌이 부부, 워킹맘

 


그렇다면 맞벌이 직장인들이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기관에 아이를 맡기는 비율은 어느 정도 일까요? 자녀 교육을 누구에게 맡기고 있을까요?

 

맞벌이, 양육, 육아, 유치원, 어린이집, 양육비, 맞벌이 부부, 자녀 보육을 누가 하는가

 

자녀 보육을 누가 하는가 조사한 결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 보육기관에 맡긴다는 답변이 68.3%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부모님께 맡긴다는 답변은 27.0%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요즘 맞벌이 부부들은 부모님께 의존하기 보다는 전문 보육 기관을 선택하여 자녀 교육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보육기관에 자녀를 맡기는데 드는 월 평균 비용은 얼마일까요? 그밖에 아이들을 맡기고 있는 곳과 비용은 얼마일까요?

 

맞벌이, 양육, 육아, 유치원, 어린이집, 양육비, 맞벌이 부부, 아기를 맡기는데 드는 비용은?

 

 

조사결과 보육기관에 맡기는 경우 월 평균 보육비가 42만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부모님께 맡기는 경우는 평균 60만 원, 시간제돌보미의 도움을 받는 경우 평균 23만 원, 베이비시터의 도움을 받는 경우는 평균 87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렇게 경제적인 원인 때문에 예전에 비해 부모님의 손에 아이를 맡기는 비율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보육기관에 맡기는 경우가 아이를 부모님께 맡기거나 베이비시터를 두는 것보다 금전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부모들이 보육기관의 금액에 의문을 품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보육기관의 경우 아이의 연령에 따라 정부지원금과는 별도로 매월 원비나, 공연관람, 재롱잔치 등에 사용하는 문화행사비와 특별활동비 등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서 많은 학부모들은 별도의 금액이 지나치게 많이 든다는 의견이지만 구체적으로 활동하는 내용에 대해 물어보거나 금액에 대해 항의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이를 맡기는 입장에서 아이에게 부당한 해가 갈까봐 묻지 못하는 것데요.

 


이에 대해서는 아이를 맡기는 입장에서 부담이 되지 않도록 보육기관 측에서 정확한 정산과정과 돈의 사용 내역을 공개해 부모들에게 추가 요금에 대한 정당성을 보여주지 않으면 안될 것으로 보입니다.

 

 

맞벌이, 양육, 육아, 유치원, 어린이집, 양육비, 맞벌이 부부, 영유아

 

 

한편, 아무리 아이를 보육기관에 맡겨도 부모 스스로 자녀 육아 및 양육을 위한 공부를 해야 하는데요. 맞벌이 부부들은 어떤 방법으로 육아 교육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있을까요?

 

 

맞벌이, 양육, 육아, 유치원, 어린이집, 양육비, 맞벌이 부부, 자녀 육아 정보 어디서 습득하는가?

 

인터넷 육아카페나 블로그에서 정보를 얻는 부모가 66.5%로 압도적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 외에는 친인척이나 친구 등 지인을 통한 정보습득이 45.6%, 육아잡지 등 도서를 통한 정보 습득이 35.8% 였습니다. 이 외에 육아 전문포털을 통해 정보를 얻는다는 부모도 27.4%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기혼 여성의 직장 생활이 활발해지고 맞벌이 부부가 늘어남에 따라 아이를 안심하고 맡길 보육시설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아이의 교육을 책임지고 아이가 안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보육기관 확충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인데요.

 

이에 전경련은 보듬이나눔이 어린이집을 개원하였습니다. 어린이집 개원 기획을 통해 여러 기업으로부터 사회공헌을 받아 어린이 보육시설을 늘리는 일에 앞장서고 있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니 여기를 눌러서 확인해주세요!

 

지금까지 우리나라 맞벌이 부부가 영유아 자녀 교육을 어디에 맡기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아이를 두고 있는 부모뿐만아니라 앞으로 부모가 될 예비 엄마, 아빠들도 보육 및 육아 요금에 많은 관심과 걱정이 많을 텐데요.

 

앞으로 정부나 기업이 앞장서서 안심하고 아이를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노력이 우리나라 영유아 교육의 발전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해봅니다.

 

 

맞벌이, 양육, 육아, 유치원, 어린이집, 양육비, 맞벌이 부부

 

아이와 부모 모두 안심하고 다닐 수 있는 보육 기관의 확충이 필요한 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