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셜스퀘어/요즘뜨는이야기

기업 충성심 있는 직원을 확보하는 방법은?

기업 충성심 있는 직원을 확보하는 방법은?

 


요즘은 옛날과 달리 회사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많이 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다수의 신입사원이 한번 취직한 회사에 평생을 걸었지만 최근에는 이런 생각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시대가 변하면서 회사에 대한 직장인의 애사심, 충성심 등에 대한 인식 역시 변하고 있습니다.

 

직원들의 로열티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직원들의 이직에 대한 의견인데요. 한 이직률 조사에 의하면 대졸 취업자의 60%가 4년 이내에 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뿐만 아닙니다.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어디든 붙고 보자는 묻지마 취업이 증가하면서 신입사원들은 조직에 적응하고 하나의 구성원이 되려 하기 보다는 현재보다 더 나은 조건의 기업으로 이직할 기회를 호시탐탐 엿보고 있습니다.

 

기업, 충성심, 애사신, 로열티, 방법, 직원, 직장인, 회사원, 이직(사진출처:이미지투데이)

 

 

이러한 기업 로열티에 대한 인식 변화로 노동 시장은 예전에 비해 유연해졌습니다. 그러나 기업의 입장에서는 점점 직원들의 로열티를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기업에는 직원의 이직이 위협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이는 비단 기업의 규모를 따지지 않습니다. 이직은 교육, 배치 등 기업의 장기적 인력 운용을 어렵게 만들고 대체 인력 확보를 위한 금전적 손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제에 대응하고 변화하는 인식과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회사와 사원 모두 이득을 얻기 위해서 기업-사원 사이의 로열티는 어떤 방법으로 확보해야 할까요?

 

1. 기업은 개인의 경력 개발과 회사 성과 제고를 연결하는 인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로열티의 개념이 예전과는 다르게 회사가 아닌 업무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구성원의 로열티를 얻기 위해서 기업은 개인이 원하는 경력개발을 회사 차원에서 업무와 연계시켜 지지해 줄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개인과 기업의 연계를 강화하고 그를 지지해줄 수 있는 인사 체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 회사가 중시하는 인재상과 조직 문화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해야 한다.

 

기업이 구성원으로부터 로열티를 원한다면 반드시 따져봐야 할 것은 바로 직원과 회사의 인재상, 조직문화 사이의 적합성입니다. 이 두 가지에 적합한 인재를 뽑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기업과 직원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습니다. 지원자의 실력, 스펙도 물론 중요하지만 추구하는 경력과 직무적성, 조직 문화와의 적합성도 반드시 따져서 인재를 채용해야 합니다.

 

3. 회사와 구성원 사이의 파트너십을 구축한다.

 

구성원과 회사 사이의 접점을 찾고 그것을 강화하는, 일종의 파트너십을 만들어야 합니다.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어가고는 있지만 로열티는 여전히 기업의 중요한 경쟁요소이기 때문에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다면 직원과 회사의 끈끈한 연결점이 있어야 합니다. 직원을 교육하고 개발에 투자하면서 로열티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직원에게 로열티를 부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로열티가 높은 기업의 직원은 비교적 로열티가 낮은 기업의 직원보다 높은 성과를 창출해 내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로열티는 직원의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노력으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것이 기업을 향상시키는 근본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업이 유지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업도 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직원들에게 꾸준히 동기를 부여하고 그들의 로열티를 이끌어내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결과적으로 구성원의 자기개발과 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사우스웨스트 항공사나 페덱스는 ‘고객도 중요하지만 우리 직원이 더 우선이다. 충성스런 직원이 충성스런 고객을 만들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합니다. 이는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애사심과 열정이 중요하게 적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업, 충성심, 애사신, 로열티, 방법, 직원, 직장인, 회사원, 이직(사진출처:이미지투데이)

 

 

이렇게 회사 차원에서 직원들의 로열티를 이끌어내려는 노력이 기업과 구성원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는 점을 이해하고 함께 고민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회사와 직원 모두가 성장할 수 있도록 앞으로 여러 기업에서 로열티를 다루는 방식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

 

(출처 : LG경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