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셜스퀘어/요즘뜨는이야기

유연근무제, 근무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유연근무제란?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시간제 근무제, 재택근무제……

 

근로자가 근무시간과 형태를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제도에 대해서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이러한 모든 것을 유연근무제라고 합니다.

 

 

유연근무제, 도입, 찬반, 시간제근무, 재택근무, 선택적 근로시간제, 탄력적 근로시간제

 

 

유연근무제는 근로자가 개인 여건에 따라 근무 시간과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시간당 임금과 4대 보험을 비롯한 복리후생을 현재의 정규직 수준으로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시간이 줄어든 만큼 급여는 덜 받게 되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해고가 자유로운 기간제 근로자나 파견 근로자보다는 비교적 안정된 고용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앞서 언급한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시간제 근무제가 무엇인지 하나하나 살펴볼까요?

 

 

탄력적 근로시간제 

일감이 많을 때는 근로시간을 늘리고 일감이 적을 때는 줄이는 제도

일간의 계절적 변동이 큰 업종에서 활용하기 좋음

장점: 기업은 수요가 많을 때 초과근로수당을 줄이고 근로자는 수요가 적은 시기에

여가시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음

 

선택적 근로시간제

(flex-time)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방식

최근 일과 가정의 양립을 원하는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으로 각광

 

시간제 근무제

(part time)

 

전일제 근무와 달리 개인 사정이나 본인 필요에 따라 근무시간을 지정하여 일하고 일한

근무시간에 비례해 보수를 지급받는 제도

 

 재택근무제

 

회사에 출근하지 않고 집안에서 회사의 업무를 보는 일

 


<우리나라 유연근무제 현황>

 


대한상공회의소가 9일 선진국 사례로 본 유연근무제 확산방안 연구보고서를 통해 국내기업의 유형별 유연근무제 도입률에 대해서 발표했는데요. 우리나라의 유연근무제 현황은 어떨까요?

 

우리나라의 유연근무제 도입률은 모두 10% 미만으로 미국, 일본이 50%인데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세한 사항을 살펴볼까요?

 

 

먼저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국내 도입률이 6.1%로 각각 51.3%, 40.0%를 기록한 일본, 독일과 큰 차이를 나타냈다. 선택적 근로시간제 역시 국내기업의 활용률은 3.3%에 그쳐 미국(54.0%)의 10분 1에도 못 미쳤으며 독일(33.0%), 영국(9.4%) 등 주요 선진국 모두에 뒤쳐지는 수치로 나타났다.
또, 영국 기업의 88.0%가 활용하고 있는 시간제 근무제(part time)도 국내기업의 2.0%만이 도입하고 있었고, 미국 기업의 51.0%가 도입한 재택근무제 역시 국내 도입률 1.4%에 그쳤다.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 보다 유연근무제의 도입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과연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

 

 

대한상공회의소의 관계자는 유연근무제 활용률이 낮은 원인에 대해 “그 동안 우리나라의 고용구조가 남성•풀 타임(full-time)•정규직 근로자 중심으로 이뤄져 왔기 때문”이라며 “여성과 청년 고용률을 낮추는 이와 같은 고용구조는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진입한 국내 노동시장에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박종갑 대한상의 상무는 “유연근무제는 장시간 근로관행 개선뿐 아니라 기업의 효율적 인력운용과 일•가정 양립을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고용률 제고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제도이다”며 “노사가 기존 관행과 기득권을 버리고 각 기업에 적합한 유연근무제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유연근무제가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나라의 유연근무제 도입 현황은 어떤지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이러한 유연근무제의 도입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유연근무제, 도입, 찬반, 시간제근무, 재택근무, 선택적 근로시간제, 탄력적 근로시간제

 

다른 나라가 어느 정도 수준의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상황과 업계에 맞는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입니다. 우리나라 기업과 직장인 모두에게 이득을 줄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을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