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억대 연봉자는 얼마나 될까? 지난해 근로자 평균 연봉 알아보기
경기 불황과 제자리걸음인 가계 소득. 임금근로자들의 체감 경기가 도통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작년은 어떠했을까요? 2014년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3,240만 원으로, 임금근로자 100명 중 50번째는 2,465만 원, 상위 10번째 근로자의 연봉은 6,408만 원이었는데요. 자유광장에서 이 ‘2014년도 소득분위별 근로자 임금’을 더 자세히 분석해 봤습니다.
10개 분위로 나눠 살펴본 2014년도 임금근로자 연봉
고용노동부의 ‘고용 형태별 근로 실태 조사’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한 이번 결과에 따르면, 2014년 고용주, 자영업자 등을 제외한 임금근로자 중 상위 10%에 해당하는 연봉은 6,408만 원 이상이었는데요. 그다음 상위 20%는 4,586~6,408만 원, 상위 30%는 3,600~4,586만 원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평균 연봉은 3,240만 원이었는데요. 소득분위별 평균 연봉을 살펴보면, 9,287만 원인 ‘10분위(상위 10% 이상)’부터 ‘1분위(90~100%)’ 584만 원까지 나뉘었습니다. 특히 2014년도 10분위의 총연봉은 임금근로자 전체 연봉의 28.7%를 차지했고, 1분위는 1.8%에 그쳤습니다.
한편 2014년도 연봉 금액별 근로자 수 분포를 보면, ‘연봉이 1억 원 이상’인 근로자는 2.5%, ‘6천만 원 미만∼4천만 원’은 13.6%, ‘2천만 원 미만’은 37.3%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동일한 원시 데이터를 활용한 고용부의 분석을 따르면,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 연봉은 6,278만 원, 중소기업 정규직은 3,323만 원이었는데요. 이는 임금근로자 중에서도 각각 소득 상위 10.5%, 35.7%에 해당하는 수준이었습니다. ‘연봉 슈퍼 리치’라는 말이 있을 만큼, 연봉에 대한 임금근로자들의 기대와 고민이 늘어가는 요즘. 소득 양극화 문제 해결은 물론, 내년에는 좀 더 나은 대한민국이 될 수 있길 기대해봅니다.
* 본 포스팅은 전경련 고용노사팀 신민섭 조사역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