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는 매년 초등학교,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 경제교육의 질적 향상에 도움을 주는 교육 프로그램인 경제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거시를 다루는 일반 경제 교육과는 달리 시장경제와 기업•기업인을 이해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전경련 경제 아카데미만의 특징인데요.
(사진출처:이미지투데이)
경제 아카데미에는 현직 대학교수, 금융권 임원, 언론인 등 각계각층 인사들이 들려주는 유익한 강연과 직접 기업현장을 방문하는 체험 기회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거기다 교사들 간에 경제교육 우수 수업 사례를 공유하는 등 알차고 유익한 프로그램이 가득한데요.
올해에는 전국 초중등 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1월 8일부터 1월 10일까지 2박 3일에 걸쳐 2014년 동계 교사 경제아카데미가 진행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시장경제와 기업에 대한 실질적 이해도를 높이고, 그 정보를 학교 경제교육에 적용해 아이들에게 질적으로 향상된 수업을 들려주게 됩니다.
그렇다면 2014 동계 교사 경제아카데미를 통해 교사들은 어떤 강연을 듣고, 또 어떤 기업 현장을 방문하게 될까요? 아카데미 현장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아카데미 첫날, 첫번째 강연은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특임교수 김정호 교수의 강연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김정호 교수는 자유광장 칼럼니스트로도 활약하고 계신데요. 자칫하면 추상적이고 어려울 수 있는 경제 이야기를 자유광장의 칼럼처럼 일화를 통해 쉽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김정호 교수님의 자유광장 칼럼 '쇼미더경제' 시리즈는 옆 URL을 클릭해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http://goo.gl/97WTdK)
“‘시장경제’라는 개념을 학생들한테 어떻게 설명해야 효과적일지 이번에 제대로 배워가려고요. 특히 재미있는 사례들이 강연에 많이 포함되어 있어 수업에 잘 활용할 계획입니다.”
- 상률초등학교 오은석 교사
대한민국 기업가 열전을 주제로 조선 시대 거상 임상옥부터 삼성의 이병철 회장, 현대의 정주영 회장에 이르기까지 기업인들의 도전과 모험, 혁신을 생동감 넘치는 일화로 풀어낸 강연은 교사들에게도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김정호 교수의 강연에 이어 전경련에서 수년간 근무해 온 현직 경제, 산업, 홍보 본부장이 강사로 변신해 강연에 나섭니다. ‘골목상권과 대형마트 규제, 일자리문제, 창조경제’ 등 그동안 이슈가 되었던 다양한 경제 현안을 주제로 한 생생한 경제 수업이 기대되는데요. 전경련 본부장들과 교사들의 일문일답 시간도 함께 마련돼 시장경제와 관련한 각종 오해와 궁금증에 대한 이야기도 나눌 예정입니다.
교육 이튿날에는 교사들이 산업 현장을 직접 탐방합니다. 생산라인을 찾을 기회는 흔치 않기 때문에 현장 탐방 프로그램은 매년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산업 현장 탐방을 통해 교사들은 기업 현장, 경영 환경, 경영철학, 생존전략 등 산업현장 속 생생한 정보를 눈으로 확인하게 됩니다.
올해 참가자들은 기아자동차 화성공장과 현대제철 당진공장을 방문할 계획인데요.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말처럼 백번 현장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것보다 한번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이 산업 현장과 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학생들에게 현장체험의 학습 효과가 높은 만큼,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업탐방 프로그램도 개설되었으면 좋겠어요. 오늘 현장에서 보고 들은 것들을 꼼꼼히 기록해 두었다가 수업현장에서 아이들에게 잘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 동북고등학교 한경화 교사
아이들에게 직접 보여주고 싶을 정도로 알찬 현장 탐방 프로그램을 살펴보니 선생님은 아니지만 저도 한번 참여해보고 싶을 정도인데요. 매년 그랬듯이 올해에도 많은 교사들이 산업 현장 탐방을 통해 현장의 분위기와 상황을 이해하고 돌아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경제 아카데미의 생동감 넘치는 현장 탐방이 시장 경제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높이는 알짜배기 소스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지금까지 2014 동계 경제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살펴보았습니다. 경제 아카데미의 인기는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특히나 전국 방방곡곡의 교사들 사이에서 높은 참여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뜨거운 성원에 보답하고, 올바른 경제교육 소스를 더 많은 곳에 제공하기 위해 최근에는 교사 연수를 지방으로 확대 진행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앞으로도 교사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성원 부탁드립니다. ^^)
(사진출처:이미지투데이)
지난 한해에만 총 320명의 교사가 전경련 경제 아카데미를 수료했습니다. 올해에도 그리고 내년에도, 더 많은 교사가 경제 아카데미를 수료해 현장에서 직접 몸으로 체감하는 경제 교육의 기회가 늘어나기를 바랍니다.
많은 교사와 학생들이 양질의 경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전경련 경제아카데미는 앞으로도 계속됩니다. :)
* 본 포스팅은 전경련 경제교육실 한지영 조사역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경제스토리 > 자유광장은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외편 2탄. 자유광장 소통공감 서포터즈란? (0) | 2014.01.10 |
---|---|
창조경제는 길이다 (자유광장TV 창조경제 기획 3편) (0) | 2014.01.10 |
우리 기업이 바라보는 2014년 중국 경기는? (0) | 2014.01.08 |
번외편 1탄. 2013년도 팟미팅 어워드 (0) | 2013.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