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 시대 속에서 우리는 기름값 부담을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자신만의 방법으로 고유가 시대에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방법으로는 연비를 높여 기름값을 줄이는 다양한 TIP에서부터 승용 디젤,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교체하는 등의 방법이 있는데요. 그 중 최고의 방법은 가장 높은 효율성과 기름값 부담에서 해방될 수 있는 순수 전기차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자연스러운 흐름과 요구에 힘입어 고객의 기름값 부담을 줄여줄 순수 전기차가 현재 하나둘 출시되고 있습니다.
순수 전기차란 무엇일까요? 순수 전기차는 말 그대로 기존의 휘발유, 경유 등의 내연기관을 이용하지 않고, 배터리와 전기모터의 구동방식으로만 주행이 가능한 차량을 의미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전기’라는 동력원을 100% 사용하는 차량입니다.
순수 전기차는 일반 자동차가 기름이 떨어져 주유소를 찾는 것처럼,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공간 또는 장소에서 전기 코드와 차를 연결해 배터리 충전을 가능케 하는 차입니다.
이는 기존 내연기관보다 주행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환경에 좋지 않은 배출물이 제로인 청정에너지를 사용하는 친환경 차량으로 여러 면에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 각 지방자치단체나 정부는 순수 전기차의 보급을 늘리기 위해 차량 보조금 등의 혜택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차량의 가격 자체가 워낙 높다 보니 쉽사리 구매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전기차의 보급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휘발유, 경유 속에 포함된 세수가 줄어들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혜택의 전기차를 구입할 것인지, 세수가 낮은 기존 자동차를 구입할 것인지 그야말로 소비자에게는 혼란이 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과 전기차 구매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인 ‘충전 인프라’는 실질적으로 소비자의 피부에 가장 와 닿는 부분입니다. 전기차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전기차의 주 동력원인 배터리를 충전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불안감을 감수해야만 합니다.
현재 전기차를 위한 충전 인프라는 서울시와 제주시 그리고 몇몇 곳의 지방자치단체에서만 시설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실질적으로 내 집 또는 사무실, 공공장소 등에서의 배터리 충전은 불가능하다고 봐도 좋습니다.
따라서 전기차 보급 및 상용화를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책임을 정부는 물론 전기차 제조사, 별도의 충전 인프라 시행사 등 어느 누구 하나 발 벗고 나서지 않고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을 위해 많은 노력과 투자를 해야 하는 현실에서 누구도 발 벗고 나서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 않은 것입니다.
앞으로 전기차는 계속해서 출시될 것이고 전기차의 장점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역시 높아질 것입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수요도 늘어날 것이 분명합니다. 하지만 이에 앞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세수, 차량 제조사의 인프라 확충에 대한 투자, 충전 인프라를 통한 수익성을 고려한 시행사 등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소비자는 전기차를 구매하고도 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거나 혹은 그 전에 전기차 구매 자체를 포기해 버리는 상황이 벌어질 것입니다.
자동차 업계에서 전기차는 제조사의 이미지 리딩이나 기술력, 성능 등을 보여주는 척도가 아닙니다. 환경을 생각하고 고갈되고 있는 석탄자원을 대체하는 역할로, 그리고 기름값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경제성 높은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현실적인 최상의 대안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최상의 대안 전기차를 보급함에 앞서 세수를 먼저 고려하는 것이 아닌, 차량의 판매 실적을 고려하는 것이 아닌, 충전 인프라를 통한 수익성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아닌…. 오직 전기차를 통해 얻게 될 경제적 가치, 우리나라가 얻게될 기술의 경쟁력, 오늘이 아닌 내일을 위한 투자를 위한 초석이 우선으로 만들어지길 바라봅니다.
'소셜스퀘어 > 요즘뜨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절에 따라 뜨는 창업은? (0) | 2013.11.05 |
---|---|
등산과 단풍놀이의 계절 가을! 가을 등산 시 일어날 수 있는 사고 대처법은? (4) | 2013.11.02 |
직장인이 원하는 꿈의 직장은? (1) | 2013.11.01 |
알파맘 VS 베타맘, 어떤 유형의 부모가 되고 싶나요? (2) | 201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