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에 놀라셨나요? ^^;
많은 분들이 기다리고 계시는 여름휴가가 코 앞인데, 앞으론 여름휴가가 없어질지도 모른다니...대체 무슨 소리인가-하실 분들도 많이 계실 것 같습니다.
그런데...사실입니다!
전경련에서 대기업을 대상으로 '휴가 패턴 및 연중 휴가 시행'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는 별도의 여름 휴가 기간을 두고 있지만 앞으론 별도 기간을 두지 않는, 연중 휴가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사람 많은 시기를 피해 가고 싶을 때 휴가를 갈 수 있게 된다는 거죠. ^^
현재 대기업들의 휴가 시행 패턴은 '하계 휴가'입니다. 응답 기업의 70.3%는 별도의 하계휴가 기간을 두고 이 기간에 임직원의 휴가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29.7%는 이미 별도 기간을 두지 않고 연중 휴가를 실시하고 있다고 대답했습니다.
올해 하계휴가 기간은 7월 말∼8월 초에 집중(59.7%)될 것으로 파악됩니다. 8월 초순이 여름휴가 기간이라는 회사가 34.4%로 가장 많았고 7월 말(25.3%), 8월 중순(12.2%), 7월 중순(10.9%), 8월 말(7.3%)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또 우리 기업들은 5월 관광주간(5.1∼5.11)에는 응답 기업의 56.7%가 권장휴가(37.0%) 또는 일괄 휴무(19.7%)를 실시한 것으로 나타나, 상당수 기업들이 정부와 경제계의 휴가 보내기 캠페인에 동참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자- 현재까진 이렇게 7말 8초에 집중해서 휴가를 떠나는데요, 앞으론 과연 어떨까요?
먼저 연중 휴가 시행에 대한 입장을 물었습니다. 이에 대한 기업들의 의견은 매우 긍정. 응답 기업의 77.5%가 연중 휴가 시행에 찬성한다고 하네요.
그럼 왜 연중휴가를 시행하려는 걸까요? 여러 가지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들은 연중 휴가 시행에 따른 기대효과로 근로생산성 증대(30.5%), 관광 산업 활성화(28.1%), 내수 소비 촉진(19.2%), 지역 경제 활성화(13.8%) 등을 꼽았습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상당수 기업들이 연중 휴가 시행에 지지입장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전경련 김용옥 경제정책팀장은 “향후 기업들의 연중 휴가제 도입 확대에 따른 경제 전반의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는데요.
어떠세요? 저는 사람 많은 휴가철 피해서 원하는 시기에 휴가를 쓸 수 있게 해주는 연중 휴가 제도를 찬성합니다만, 세상엔 다른 입장이신 분들도 계시겠죠?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본 포스팅은 전경련 경제정책팀 박아련 연구원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경제스토리 > 자유광장은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창동계올림픽, 뜨거운 꿈을 응원합니다! (0) | 2014.07.25 |
---|---|
대기업 절반, 임단협 작년보다 어려울 것으로 예상 (0) | 2014.07.22 |
포르투갈 대통령과 경제4단체의 만남, 새로운 파트너십을 약속합니다! (0) | 2014.07.22 |
사내유보금 과세에 대한 오해 4가지 (13) | 2014.07.21 |